본문 바로가기
티스토리 블로그

줌, 네이버, 구글에 티스토리 블로그 등록하기

by K직장인 2022. 4. 18.

줌(ZUM), 네이버(NAVER), 구글(GOOGLE)에 티스토리 블로그 url을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해당 사이트들에 등록해둠으로써 추가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기에 수익 창출형 블로그를 위해서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1. 줌 사이트  검색 등록

줌 사이트 검색 등록창에 들어갑니다. 하단에 이메일, 사이트 주소(*중요)에 티스토리 블로그 URL 넣습니다. 이외에 사이트명, 사이트 소개 등은 간단하게 작성해줘도 됩니다. 작성 완료 후에 신청하기 누르면 끝납니다. 

 

2.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소유주 확인 필요)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검색창에 들어갑니다. 네이버 로그인 해주세요. 사이트 관리, 사이트 등록에서 티스토리 블로그 URL을 넣습니다. 그럼 소유주 확인창이 나오게 됩니다. 하단에 HTML태그 부분에 meta name~으로 시작하는 메타 태그를 복사합니다.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스킨편집, HTML편집으로 들어갑니다. 맨 위의 <Head>부분에 아까 복사한 메타 태그를 붙여넣기 해주면 됩니다. 적용누르고 다시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소유 확인을 마무리해주면 됩니다. 그러면 소유 확인이 완료되었다는 안내창이 나오게 됩니다.  

 

3. 구글 서치콘솔(소유주 확인 필요)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구글 로그인 해준 후에 속성 추가에 들어갑니다. URL접두어에 티스토리 블로그 URL을 삽입하고 확인버튼을 누릅니다. 다음은 네이버와 같이 메타 태그를 등록해주면 됩니다. 하단에 HTML태그의 메타 태그를 복사하여서 마찬가지로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편집의 , HTML편집에서 <Head> 부분에 추가해주면 됩니다. 적용누르고 다시 구글 서치콘솔에서 소유 화인까지 진행해주면 됩니다. 

 

추가로 티스토리 블로그에 글을 써둔 상태라면 RSS등록과 사이트맵 등록이 필요합니다. 네이버의 경우, 네이버웹마스터에서 등록된 블로그 검색하고 좌측 목록에서 '요청'을 눌러줍니다. 그 중 'RSS제출'버튼을 누르고 본인 URL뒤에 rss만 추가해주면 됩니다. 사이트맵은 본인의 URL뒤에 sitemap.xml을 추가해주면 됩니다. 구글 서치콘솔도 동일한 방법으로 URL뒤에 rss와 sitemap.xml만 추가하여 등록해주시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