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인 금융 공부

경기 전세사기 피해 지원 총정리

by K직장인 2023. 3. 16.

경기도에서 전세 사기 피해자들을 위해 법률적, 주거적 지원을 실시합니다. 오늘은 경기도 전세 피해 지원에 대해서 총정리합니다. 

목차

     

    전세 피해 지원센터 운영 

    경기도주거복지센터 내 주택 도시공사의 주거 분야 전문 인력과 변호사, 공인중개사 등 부동산 법률 관련 전문 인력들을 투입하여 법률, 긴급 금융 지원, 주거 지원 등 종합적인 상담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피해 접수부터 지원 대책 안내까지 단일한 소통 창구를 통해 빠르고 손쉬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진행할 예정입니다. 피해 지원센터는 연소득 부부 합산 3,000만 원 이하의 경우에 해당합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심사를 거쳐 '전세 피해 확인서'를 발급받으면 긴급 주거지원 및 금융지원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세 사기로 보증금을 손해 본 피해자가 이사를 원할 경우, 1~2%대의 저금리로 전세보증금을 지원받거나 무이자 대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로 경매 낙찰 등으로 당장 퇴거가 필요한 경우, 긴급 주거 지원 대상자로 분류되어 경기 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공공임대주택을 임시 거처로 지원받을 수도 있습니다. 

     

    경기도와 공인중개사협회, 한국감정평가사 협회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온라인 상담 서비스도 있으며 아래 사이트에서 접수 가능하니 참고바랍니다. 

    전세피해상담지원센터(온라인) 

     

    깡통전세 알아보기 서비스 

    경기부동산사이트에서 작년12월부 깡통전세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소지를 검색하거나 지도를 통해서 최근 거래된 전세 및 매매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최근 거래 내역을 보고 전세가율을 확인하면 됩니다.

    전세가율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입니다. 전세가율이 80%이상인 집은 갭투자의 대상이 되니 깡통 전세의 위험성이 크고 이에 따라 주의가 필요합니다. 최근 거래가 없는 건물일 경우, '주변 정보 조회하기'를 통해서 1km 이내 모든 거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깡통전세 조회 사이트(무료) 

     

     

    전세 사기 예방을 위한 교육 홍보 영상 제공 

    경기평생 학습 포털(GSEEK) 사이트에서는 부동산 기초 상식 및 전월세 계약 시 주의사항, 보증금 지키는 방법 등에 대한 무료 영상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해당 사이트에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추후 상담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